리액트가 작동하도록 하는 component, 과연 무엇일까? component는 HTML을 반환하는 함수이다. 현재 리액트 창에 Hello!가 출력되도록 하는 component는 App.js에 함수의 형태로 존재한다.
function App() {
return (
<div> Hello!
</div>
);
}
해당 component를 사용하고자 한다면 index.js에서 다음과 같이 쓰면 된다.
ReactDOM.render(<App />, document.getElementById('root'));
만약 <App /> 부분을 App으로 작성하는 경우 해당 component는 리액트로 작동하지 않는다.
이처럼 js와 HTML 사이의 조합이 리액트에서만 사용하는 'jsx'라는 개념이다.
이제 나만의 component를 만들어보자.
src 안에 새로운 Lect_name.js 파일을 생성한다. (* 이름은 대문자로 시작해야 오류가 나지 않는다. )
import React from "react";
function Lect_name() {
return <h3>안교수님 강의자료실</h3>
}
export default Lect_name;
이 Lect_name.js를 어떻게 사용할까? 위의 코드처럼 index.js에서 해당 component를 포함할 수 있도록 해주면 된다. 하지만 무작정 아래와 같이 코드를 작성하면 오류가 난다.
ReactDOM.render(<App /><Lect_name />, document.getElementById('root'));
그 이유는 react application은 하나의 component만을 rendering 해야 하기 때문이다. 현재 App을 렌더링하고 있는 상태이다. 따라서 Lect_name을 App 옆에 두는 대신 App 안에 넣어주도록 한다.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Lect_name from "./Lect_name";
function App() {
return (
<div>
<h1>Hello!</h1>
<Lect_name />
</div>
);
}
export default App;
위의 코드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이 제대로 App(), Lect_name()이 실행된 화면을 볼 수 있다.
jsx는 js 안의 HTML이며, 사용자는 얼마든지 원하는 만큼 component를 올릴 수 있다는 점을 알고 가도록 한다. 다만 유의해야 할 것은 react application은 한 번에 하나의 component만 rendering할 수 있다는 점이다.
react - component 간의 관계가 이해되었다면 jsx의 다음 특징에 대해 알아보자.
여기까지 따라왔다면 파일 간의 불필요한 이동을 줄이기 위해 Lect_name 파일을 제거하고 App.js 내에 Lect_name() 함수를 정의하도록 한다.
import React from 'react';
function Lect_name() {
return <h3>안교수님 강의자료실</h3>;
}
function App() {
return (
<div>
<h1>Hello!</h1>
<Lect_name />
</div>
);
}
export default App;
이렇게 적어도 물론 코드는 제대로 작동한다. 여기서 jsx의 두번째 특징을 볼 수 있다. 바로 component에 정보를 보낼 수 있다는 점이다. component는 얼마든지 반복적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그렇다고 해서 만약 Lect_name() 함수를 여러번 호출하고 싶다고 해서, 무작정 <Lect_name />을 여러번 적는 것은 그다지 추천하고 싶지 않다.
각 HTML은 필요에 따라 동적으로 추가되는 것이 이상적인데, 이는 component에서 component로, child component로 정보를 보내는 방법(props)을 통해 구현할 수 있다.
import React from 'react';
function Lect_name(props) {
console.log(props);
console.log(props.prof);
return <h3>강의자료실</h3>;
}
function App() {
return (
<div>
<h1>Hello!</h1>
<Lect_name prof="ahn" />
</div>
);
}
export default App;
위의 코드를 실행하면 화면 자체에는 변화가 없으나 개발자 도구를 열어 콘솔 창을 보면 다음과 같다.
js의 es6를 사용하면, 해당 object에서 값을 직접 꺼내서 쓸수도 있다.
import React from 'react';
function Lect_name({prof}) {
return <h3>{prof} 강의자료실</h3>;
}
function App() {
return (
<div>
<h1>Hello!</h1>
<Lect_name prof="안교수님" />
</div>
);
}
export default App;
props.prof와 {prof}는 동일한 기능을 한다. 위의 코드를 실행해보면 기존에 출력하던 것과 동일한 화면이 출력되는 것을 볼 수 있다.
props는 데이터를 통해 얼마든지 HTML이 추가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props는 뭐든지 component에 넣는 것들이고, 이는 해당 component의 첫번째 argument로 이동한다.
다음 강좌부터는 웹사이트에 동적 데이터를 통해 값을 전달하는 것을 다루나, 현재 내가 개발하고자 하는 웹페이지와는 관계가 없기 때문에 추후 추가하도록 하겠다! (#2.2)
'개발 프로젝트 > 학과 홈페이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액트로 강의 자료실 개발하기 3 - state에 대하여 (0) | 2020.01.17 |
---|---|
리액트로 강의 자료실 개발하기 - 기초 셋팅 및 리액트에 대하여 (0) | 2020.01.17 |
컴퓨터교육과 홈페이지 개발일지 2019~ (0) | 2020.01.17 |